본문 바로가기
인천도호부관아

인천도호부관아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도호부란?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조직은 1413년(태종 13년)에 전국을 8도(道)로 나누었고 도밑에는 대도호부(大都護府) · 목(牧) · 도호부(都護府) · 군(郡) · 현(縣) 등이 있었으며, 인천도호부내에는 10개의 면(面)과 그 밑에 다수의 동(洞) · 리(理) · 촌(村)이 있었고, 동 · 리의 밑에는 매 5호(戶)를 한 개의 통(統)으로 하는 5가작통제(五家作統制)가 시행되었다.

도호부는 중앙에서 파견된 도호부사(都護府使) 아래에 이(吏) · 호(戶) · 예(禮) · 병(兵) · 형(刑) · 공방(工房)의 6房을 두어 사무를 분담하게 하였는데 이를 담당하는 자는 지방의 향리(鄕吏)였으며, 1485년(성종16년) 경국대전(經國大典)에 규정된 당시 도호부 향리의 수는 26인이나 그 수는 점차 증가되었다. 인천부읍지(仁川府邑誌)에 의하면 관할구역은 1748년(영조24년) 당시에는 강화 · 영종 · 덕적도 등이 인천에 속했으며 인구는 2천 6백여가구에 8천여명이 거주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


인천도호부관아

미추홀구 승학산 자락에 자리한 인천도호부관아는 조선시대에 행정을 담당했던 관청이다. 조선시대에는 전국을 8도로 나누고 도아래 대도호부, 목, 도호부, 군, 현을 두어 지방행정업무를 관장했다. 1459년(세조 5) 11월 5일 세조의 왕비인 정희왕후의 외가 고을이라고 하여 인천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인천도호부관아의 시설이 정확히 언제 건립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강희맹이 쓴 「인천부승호기」에 1424년 이미 객사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최소한 그 이전 건물들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인천도호부로 승격된 이후에도 관아로서 기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인천도호부에는 왕권의 상징인 객사를 비롯해 부사의 집무처인 동헌, 내동헌 등 15~16동의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지만 현재는 문학초등학교 교정에 객사와 동헌 일부만 보존되어 있다. 이곳에 자리한 건물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화도진도’를 근거로 객사, 동헌, 공수 등 7동의 건물을 옛 모습 그대로 재현한 것이다.

청사 내에는 전통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물건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맷돌, 다듬이와 같은 생활 용품은 물론 북, 징, 꽹과리, 소고와 같은 전통악기를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외줄타기와 굴렁쇠, 연날리기, 제기차기, 팽이와 같은 우리나라 전통 놀이문화도 직접 즐길 수 있다. 인천도호부관아 양옆으로는 인천향교와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이 나란히 자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