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도호부관아

인천도호부관아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딱지치기의 정의

종이로 만든 딱지를 서로 내려 쳐서 뒤집어 상대의 딱지를 따먹는 놀이.

지게놀이의 내용

‘빠지치기’, ‘표치기’, ‘빨주치기’라고도 하는데 ‘딱지치기’란 이름이 가장 널리 쓰인다. 주로 헌 책의 표지나 공책, 달력, 시멘트나 비료포대 등 종이를 이용하여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모양이 되게 만들었으며 크기는 만드는 사람이 임의대로 할 수 있었다. 크고 두꺼운 종이로 만든 딱지를 왕딱지라고 하여 더 소중히 여겼다. 방법도 여러 가지로 넘겨먹기, 날려먹기, 벽치기, 밀어내기 등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독특하였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넘겨먹기
    가위바위보를 하여 누가 먼저 칠 것인지 정한다. 진 사람은 자기 딱지를 땅에 대고 이긴 사람은 상대의 딱지를 쳐서 넘긴다. 딱지가 뒤집어지면 그 딱지를 상대에게 주어야 한다.
  2. 날려먹기
    한 손으로 딱지를 잡고 앞으로 날려서 더 멀리 날아간 사람이 나머지 사람의 딱지를 갖는다. 날려먹기는 멀리 날리기도 하지만 선을 그어 놓고 그 선에 딱 맞게 날리는 사람이 딱지를 따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3. 벽치기
    딱지를 벽에 대고 때려서 벽에서 더 멀리 딱지가 튀어 나오면 상대의 딱지를 따는 것이다.
  4. 밀어내기
    땅바닥에 원을 그려서 원 안에 딱지를 놓는다. 각자 한 개만 할 수도 있고 일정한 개수를 정해 각각 내놓고 하기도 한다. 자신의 딱지로 상대의 딱지를 쳐서 원 밖으로 나가게 하면 상대의 딱지를 따는 것이다. 이때 실수로 자신의 딱지가 원 안에 남게 되면 그것도 잃게 된다.

아이들 스스로 만들어 사용하던 네모 딱지와는 다르게 문구점에서 판매하던 동그란 딱지도 꽤 인기를 끌었다. 돈을 주고 사야 하기 때문에 재산으로서 가치 있어 따고 잃는 것에 희비가 교차했다. 그림의 내용은 당시 인기 있는 만화 주인공들이 그려져 있는 것이 많았다. 1970~9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널리 유행했는데 이후 딱지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아이들의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크기가 작고 가볍기에 놀이 방법이 내리쳐서 따먹는 네모 딱지와 달랐다. 그 중 몇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별높과 별낮 유: 동그란 딱지에는 작지만 여러 가지 그림이 들어 있다. 별, 숫자, 글자, 가위바위보 등인데 두 명이 할 수도 있고 서너 명이 함께 할 수도 있다. 먼저 누가 접기를 할 것인가 정하고 자신의 딱지를 상대가 보지 않도록 바닥이 밑으로 가게 두 덩어리로 나눠 양손에 움켜쥔 상태로 있으면 그 둘 중에 별이 많다고 생각되는 쪽에 원하는 숫자 만큼의 딱지를 거는 것이다. 맞추면 그 수 만큼의 딱지를 상대에게서 받고 못 맞추면 상대에게 자기 딱지를 주어야 한다. 별높은 별이 많은 아이가 따 먹는 것이고 별낮은 그 반대인데 딱지에 그려진 모든 것, 즉 숫자, 글자, 가위바위보 등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파파먹기 유: 같은 수의 딱지를 아이들에게 공평하게 걷어서 탑처럼 쌓은 다음 넘겨 먹는다. 손으로 딱지 옆의 바닥을 쳐서 바람으로 넘기는 방법도 있고, 입으로 ‘파~’ 하고 바람을 일으켜 넘기기도 한다.
이 외에도 침 발라 먹기, 새끼손가락으로 날려 먹기, 붙여 먹기, 찍어 먹기 등 많은 방법이 있었다.

특징 및 의의

딱지치기는 주로 남자아이들이 많이 하던 놀이이다. 마당이나 공터에서 많이 했으며 두 명 이상만 모이면 할 수 있다. 딱지는 네모 딱지, 세모 딱지, 동그란 딱지 등 여러 모양이 있었는데, 최근 들어서는 사라진 놀이가 되었다. 이는 옛날과 달리 종이의 가치가 떨어지면서 따서 모을 필요가 없고, 잃어도 아깝지 않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해결한 것으로 최근에는 철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든 딱지가 나와 아이들에게 인기가 있다. 예전 딱지처럼 만들 수 없고 오직 사야 하기에 돈과 같은 가치를 지니고 있어 아이들이 선호하는데 상업성과 사행성이 많아 재고해 보아야 할 놀이다.

네팔이나 인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어린아이들이 동그란 딱지를 가지고 논다. 방법은 우리와 비슷하다.

참고

  • 금산의 민속놀이(강성복, 금산문화원, 1994)
  • 부여의 민속놀이(강성복, 부여문화원, 1997)
  • 울진의 세시풍속과 놀이(한양명, 울진문화원, 2012)
  • 전래놀이 101가지(이상호, 사계절, 1999)
  • 한국의 전통놀이(사단법인 삼동청소년회, 삼동윤리, 1997).
  •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