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도호부관아

인천도호부관아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곤장의 정의

목봉(木棒)으로 죄인의 볼기와 허벅다리를 치도록 만든 형구.

특징 및 의의

이 형구로 죄인을 처벌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처벌 기구로서뿐만 아니라 형벌로서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다.

형구로서의 곤장은 곤(棍)과 장(杖)으로 나누어지는데, 곤은 일반곤과 특별곤의 두가지가 있는바, 일반곤은 중곤(重棍)·대곤(大棍)·중곤(中棍)·소곤(小棍)의 네 가지가 있고, 특별곤으로는 치도곤(治盜棍)이 있다.

각종 곤에는 곤명·길이·너비·두께의 치수를 새겼으며, 또한 모든 곤은 유목(柳木)으로 제조되고, 곤형구의 자는 영조척(營造尺)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곤으로 형을 가하는 곤형은 중국에서는 없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 영조 때 제정된『속대전』에서나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고유의 형벌로 곤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장은 오형(五刑) 중의 하나인 장형의 형구로서 형(荊)나무 가지로 만드는데, 옹이나 눈은 반드시 깎아버려야 한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장의 대두경(大頭徑)은 3푼5리(三分五厘), 소두경은 2푼2리, 길이는 3척5치로 하여 소두쪽으로 볼기를 쳤다.

이 장은 그 형상과 사용방법이 정하여져 있었지만, 실제로는 족장(足杖)·원장(圓杖) 등 규정 외의 형벌까지 가하게 되었다. 장형이 처음 실시된 시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적용되었다.

그 뒤 고려·조선 시대에도 법제화된 형벌로 시행되다가 1896년에 제정된 ‘형률명례(刑律名例)’와 1905년에 제정된『형법대전(刑法大全)』에서는 장형을 폐지, 그 뒤 차차 없어지게 되었다.

참고

  • 『영조실록(英祖實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흠휼전칙(欽恤典則)』
  • 『조선구시(朝鮮舊時)の형정(刑政)』(中橋政吉, 치형협회, 19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 네이버 지식백과